경영전문블로그 Innovator
장강일의 경영전문블로그입니다.
라벨(
기업가정신과 스타트업
)과 일치하는 글이 없습니다.
모든 글 표시
라벨(
기업가정신과 스타트업
)과 일치하는 글이 없습니다.
모든 글 표시
홈
혁신과 창의성
(100)
CEO/의사결정/리더쉽
(91)
탁월한 조직
(70)
성공적인 삶
(57)
경영 기법
(50)
Coaching
(39)
Presentation
(31)
Trend Watching
(30)
기업가정신과 스타트업
(29)
Data Insights
(23)
마케팅
(23)
Investment
(4)
Blogger
Kangil Jang
전체 프로필 보기
Categories
경영 기법
(50)
기업가정신과 스타트업
(29)
마케팅
(23)
성공적인 삶
(57)
탁월한 조직
(70)
혁신과 창의성
(100)
CEO/의사결정/리더쉽
(91)
Coaching
(39)
Data Insights
(23)
Investment
(4)
Presentation
(31)
Trend Watching
(30)
Popular
구성원을 변화시키는 리더의 피드백 비법
1. 피드백을 줄 때는 무엇이 잘못되었는지(what went wrong)가 아니라, 다음에 무엇을 해야할지(what to do next)에 초점을 맞춰라. 과거의 실패에서 앞으로 되풀이하지 말아야 할 것을 배울 수 있다. 그런데, 무엇을 하면 안...
리더의 피드백이 직원들의 사기를 떨어뜨린다?
직원과 미팅을 앞두고 있다. 리더는 이번 미팅을 통해, 직원의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코칭을 하고 싶다. 당신이라면 어떻게 하겠는가? 대부분의 관리자들은 직원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려 한다. 그리고 어떤 영역을 개선하면 더 좋은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소위 전문가는 왜 훌륭한 리더가 되기 어려울까?
전문가로 인정받는다는 것은 대개 긍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오랜 기간 쌓아온 경험과 지식을 인정받는다는 것은 개인의 경력과 성과를 입증하는 중요한 요소다. 하지만 리더쉽 전문가인 Sydney Finkelstein 교수는 이 같은 전문성은 역설적으...
측정 가능해야 관리할 수 있다고? 피터 드러커가 그랬다고?
"측정 가능해야 관리할 수 있다(what gets measured gets managed)". 이는 측정의 중요성을 역설한 피터 드러커의 명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경쟁정보 분야의 대가인 Benjamin Gilad 박사는...
2025년을 맞이하는 CEO의 5가지 질문
다가오는 새 해를 준비하며, 경영자들은 어떤 질문에 답해야 할까? 첫째, 2025년의 핵심 성장 기회는 어디에 있는가? (What are the company’s key growth opportunities for the upcoming year?) ...
리더는 멈춰있지 않는다
리더십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성장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리더에게 필요한 것은 경청, 겸손, 그리고 끊임없는 성찰이다. "경청하고 지원하며 책임감을 갖기" (Listen, Support, and Stay Accountable) 리더십에서...
전략도 이제 다이어트가 필요하다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높은 시장에서 리더는 과거에 경험하지 못한 새롭고 복잡한 문제들을 수시로 직면하게 된다. C레벨 경영진들은 수많은 데이터와 이슈들을 다루게 되지만, 대부분 그때그때 급급하게 (on the fly) 대응한다. 이런 상황들이 일상화되면...
탁월한 리더는 직원에게 길을 비켜준다
탁월한 리더는 직원들에게 상사와의 아이디어 충돌을 허용한다. 즉, 상사를 따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문화를 조성한다. 스티브 잡스 역시, 기존의 틀을 깨는 용기와 자신의 아이디어에 도전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가진 사람을 매우 높게 평...
협상에서 상대의 Yes를 얻을 수 있는 비결? No를 유도하라.
Chris Voss는 FBI의 인질 협상 리더로서, 협상 기술의 정수를 집대성한 인물이다. 그는 상대방이 ‘YES’가 아닌 ‘NO’를 말하게 유도하는 전략을 강조하며, 이것이 협상을 성공으로 이끄는 열쇠라고 주장한다. "NO의 가치"...
오늘만 분주한 하루? 당신이 해야 할 일은 결코 오늘 끝나지 않는다!
많은 사람들이 생산성을 평가할 때 단순히 결과만을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얼마나 많은 일을 했는가?" 혹은 "얼마나 오랜 시간 동안 일했는가?"와 같은 수치적인 기준에 의존한다. 이런 접근법은 단기적인...
이 블로그 검색
문의하기 양식
이름
이메일
*
메시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