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자(Founder)와 CEO는 매우 다른 역할을 맡고 있다. 각자의 비전, 책임, 그리고 의사결정 방식도 다르다.
사업을 새롭게 시작하고 성공적으로 이끌고 싶다면 이 차이점들을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Founder와 CEO, 그 둘의 차이"
창업자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지고 기존 시스템과 틀을 깨고자 하는 사람이다. 창업자는 기존의 권위나 체계를 존중하지 않고, 자신만의 더 나은 비전을 가지고 있다. 창업자는 본능적으로 세상을 바꾸고 싶어하며,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다. 이런 창업자는 종종 반항적이고, 고집스럽게 자신의 비전을 고수하는 성향을 보인다.
반면 CEO는 회사의 일상적인 운영을 맡고, 이사회의 결정을 실행하는 책임을 가진다. CEO는 주주와 이사회의 명령을 따르며, 승인을 받은 뒤에만 새로운 아이디어나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다. CEO는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사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둔다. 즉, CEO는 실행자이자 조직 관리자 역할을 맡으며, 경영 전략을 실제로 구현하는 사람이다.
창업자의 비전은 혁신적이고, 때때로 위험을 감수하는 성향이 강하다. 창업자는 흔히 감성적(heart-led)이고, 비즈니스 전략이 부족하며, 자신의 원래 비전에서 벗어나지 않으려고 한다. 창업자는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거나 기존 시장에 변화를 일으키려는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시장이나 사람들의 반응을 고려하기보다는 자신의 아이디어와 가치에 집중한다. 이로 인해 사업을 고집스럽게 끌고 가다보면 자금이 부족하거나 비즈니스가 파산할 위험이 커진다. 창업자는 자신이 설계한 세상과 시스템에 대한 믿음이 강하기 때문에 때때로 회사의 현실적인 필요를 간과할 수 있다.
반면 CEO는 더 객관적(objective)이고, 사업이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자자와 이사회의 의견을 따르며, 전략적으로 결정을 내린다. CEO는 창업자가 제시한 비전을 실행 가능한 계획으로 바꾸고, 조직 내 리소스를 활용하여 비전을 구체화하는 역할을 한다. CEO는 창업자가 세운 비전을 실현 가능한 전략으로 전환해야 하며, 이를 위해 시장 조사, 고객 분석, 경쟁 분석 등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을 구체화한다. 대부분의 창업자는 비전에 충실하지만, 비즈니스가 성장하면서 그 비전이 실행 가능한 계획으로 바뀌어야 하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때 CEO의 역할이 중요해진다. CEO는 회사의 방향을 조정하고, 조직 내 다양한 부서와 협력하여 비전을 구체적인 성과로 만들어낸다.
"창업자에서 CEO로의 전환"
새로운 사업을 만들고 추진할 때 맞이하게 될 가장 큰 위험은 창업자가 자신의 회사를 운영하는 스타트업 단계에서 점차 운영 가능한 비즈니스로 성장시키는 과도기에 발생한다.
창업자는 사업을 시작할 때 필요한 창의성(creativity)과 열정(passion)을 가진 사람이다. 하지만 창업자에게 필요한 다른 특성은 비즈니스 전략과 조직 관리에 대한 이해이다. 창업자는 때때로 마음으로 결정을 내리고, 시장에서 요구하는 것을 채워주기 위한 적응력(versatility)이 부족할 수 있다. 창업자는 자신의 생각을 고지식하게 고수하거나 초기의 사업모델과 운영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해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CEO는 조직을 이끌고 관리하는 능력(management ability)을 가지고 있다. CEO는 비전을 실행 가능한 전략으로 바꾸고, 사업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데 필요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창업자와 CEO의 특성 비교"
창업자가 가진 특성:
• 생각의 리더(Thought Leader): 미래를 예측하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 열정(Passion): 목표를 향한 강한 의지와 헌신.
• 창의성(Creativity): 문제 해결을 위한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해결책.
• 공감(Empathy): 다른 사람들의 필요를 이해하고 도와주려는 마음.
• 용기(Bravery): 어려움과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하는 자세.
• 적응력(Versatility): 변화하는 상황에 맞춰 빠르게 적응하는 능력.
CEO가 가진 특성:
• 비전(Visionary): 회사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미래를 위한 전략을 설정한다.
• 훈련된 실행력(Discipline):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세운다.
• 전략(Strategy): 시장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 제한된 자원을 특정 영역에 선택적으로 집중시키거나 또는 더 이상 필요 없는 서비스는 중단하는 능력.
• 인내(Perseverance): 어려운 상황에서도 계속해서 나아가는 능력.
• 객관성(Objectivity): 감정을 배제하고 조직에 필요한 결정을 내리는 능력.
• 겸손(Humbleness): 피드백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비판을 발전의 기회로 삼는 유연한 태도.
"창업자이자 CEO?"
창업자이자 CEO 역할을 해야 하는 사람은 이 두 가지 특성을 작 인지하고 또 결합시켜야 한다. 이들은 비전적 사고(visionary thought leader)와 실행력(discipline)을 모두 갖춰야 한다. 그리고 회사가 안정적으로 꾸준히 성장하기 위해, 기획부터 마케팅, 영업, 생산에 이르기까지 전체 기능을 체계적으로 조망하고 회사의 생존력과 성장성을 높이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창업자가 CEO 역할까지 수행하려면, 초기 창업 단계에서 큰 힘을 발휘했던 무모할 만큼의 열정과 고집도 버릴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더 넓은 시각에서, 그리고 더 긴 관점에서 사업을 운영하기 위한 입체적 사고와 책임감을 길러야 한다.
Source: Kathryn Walker (Feb 20, 2025), "Are You Ready to Be a CEO, a Founder or Both? Here's How to Know", Entrepreneur (ChatGPT 활용 정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