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AI는 ‘생산성을 높여주는 도구’라는 찬사를 받아왔다. 특히 ChatGPT 같은 생성형 AI는 과제, 기획서, 보고서 작성 등 반복적인 텍스트 작업을 빠르고 편리하게 처리해주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최근 MIT 연구진의 실험은 이 같은 추세에 일침을 놓는다.
실험에 참여한 사람들은 세 그룹으로 나뉘었다. 하나는 ChatGPT를 사용해 에세이를 쓰고, 다른 하나는 Google 검색을 사용하며, 나머지 그룹은 도구 없이 오직 스스로의 사고력만으로 글을 작성했다. 실험 중 참가자들의 뇌파는 EEG(뇌파 측정 장비)를 통해 실시간으로 분석되었고, 이후 이들의 기억력, 몰입도, 만족도까지 비교했다.
결과는 명확했다. ChatGPT를 사용한 그룹의 뇌 활동은 가장 낮았다. 특히 학습과 기억을 담당하는 영역의 활동이 크게 감소했고, 이들은 자신이 쓴 글의 내용을 거의 기억하지 못했다. 작성한 글에 대한 ‘소유감’도 떨어졌고, 반복된 사용 속에서 점차 ‘생각하지 않는 습관’이 강화되었다.
반면 도구 없이 스스로 작성한 그룹은 가장 높은 신경 연결성을 보였다. 이들은 에세이에 더 몰입했고, 내용도 잘 기억했다. Google 검색을 사용한 그룹 역시 비교적 높은 인지적 활성을 유지했다.
"AI 도구 사용이 인간의 사고력을 바꾼다."
이 실험은 단순히 에세이 작성 능력의 차이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다. AI 도구의 사용이 인간의 뇌 작동 방식에 어떤 구조적인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다. 핵심은 ‘기억’과 ‘계획’이라는 인간 고유의 인지 과정을 AI가 일부 대체하면서 뇌의 기능적 훈련이 줄어든다는 점이다.
많은 사람들이 ChatGPT를 업무 보조나 학습용 도구로 사용하면서, 실질적인 사고의 양은 줄어들고 있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효율성으로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의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 즉, 기술이 인간을 돕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사고’를 대체하고 있는 것이다.
생산성과 효율성만을 기준으로 판단하면 이런 변화는 긍정적으로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기업이나 교육기관, 정책결정자라면 반드시 생각해봐야 한다. 이 기술이 장기적으로 ‘사고력’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가? 그리고 그것이 조직과 사회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AI가 당신의 사고를 대체하게 할 것인가? 보조하게 만들 것인가?"
이번 연구는 아직 학술지에 정식 게재되지 않았고, 표본 수도 많지 않다. 하지만 저자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빠르게 공개할 필요성을 느꼈다고 밝혔다. 특히 어린아이들처럼 인지 발달 중인 사람들에게 AI를 도입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렇다면 AI는 쓰면 안 되는 걸까? 아니다. 중요한 건 ‘어떻게’ 쓰느냐다. 뇌의 훈련이 필요한 학습과정, 창의적 기획, 전략 수립 등에서는 AI가 아닌 스스로의 사고를 거쳐야 한다. 반면 단순 반복 작업이나 정형화된 데이터 정리 등에서는 AI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비즈니스 관점에서 보면, AI 도구는 '사고의 보조자'이지 '대체자'가 아니다. 직원들이 보고서 초안을 AI로 만들고, 실제 내용을 판단 없이 그대로 넘기게 된다면 기업은 장기적으로 판단력과 기획력이 약화된 인재만 남게 될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AI를 도입하면서도, ‘사고의 여지를 남기는 구조’를 반드시 설계해야 한다. 예를 들어, AI가 만든 자료를 반드시 팀 내부 리뷰나 회고 과정에서 직접 토론하게 하는 등의 보완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기술을 활용하는 사람 vs 기술에 의존하는 사람"
이 글은 단순한 ‘AI 경계론’이 아니다. 중요한 메시지는 하나다. "기술은 도구이지, 사고의 대체제가 아니다."
자신의 뇌를 훈련하지 않고 AI에 사고를 위임하는 습관은 장기적으로 ‘생각하는 힘’을 잃게 만든다. 반면, AI를 ‘도우미’로 쓰되 핵심 판단은 스스로 하려는 사람은 기술 덕분에 훨씬 더 강력한 역량을 갖추게 된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모든 기획서, 보고서, 전략을 AI가 작성하는 조직은 결국 ‘자기 생각이 없는’ 구조로 전락하게 된다. 반면, AI를 도구로 삼되 판단력과 창의성을 요구하는 문화가 있는 조직은 기술의 힘과 인간의 사고가 시너지를 낼 수 있다.
결국 차이는 기술이 아니라, 그 기술을 다루는 사람의 태도와 구조에 있다.
Source: Eve Upton-Clark (Jun 20, 2025), "Your reliance on ChatGPT might be really bad for your brain.", Fast Company. (ChatGPT 활용 정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