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전문블로그 Innovator

장강일의 경영전문블로그입니다.

2021/05/16

골목 식당, 고속 성장(Fast Growth)의 비결

09:44 0
매출을 십억 원대에서 몇 천억 원대로 빠르게 성장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이 있을까? 첫째, 핵심 고객을 확인한다.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최고의 고객을 식별하는 것이다. 매출 실적이 좋은 고객군(segment)으로 영업과 마케팅을 집중하고 예산 ...
Read More

2021/05/15

2021/05/08

2021/05/02

2021/04/25

신규 사업을 추진하는 3가지 접근법

09:39 0
신사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는 최선의 방식은 무엇일까?  McKinsey는 200개 이상의 신규사업 컨설팅 사례 분석을 통해, 3개의 주요 접근법을 제시한다. "첫째, 조직 내부의 인큐베이터 운영" 기존 조직의 구성원들이 신규 사업 아...
Read More

2021/04/24

시장을 거슬러 성장(growth)하는 기업들의 원칙

10:44 0
많은 기업들이 잘 기획된 신사업과 성장 프로그램들을 추진한다. 그런데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회사가 지닌 성장 잠재력의 일부만 발휘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지난 수년간 탁월한 성장을 구가한 기업들을 분석해 보면, 이 기업들이 과거의 패턴을 깨뜨리고 ...
Read More

2021/04/18

2021/04/17

CEO의 역할은 Chief Slowdown Officer?

10:41 0
현재 존재하지 않은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경쟁사를 앞질러 시장을 공략하러 할 때 어자일(agile) 방법론이 최적으로 여겨진다. 어자일 방법론의 핵심은 신속하게 최소한의 기능을 구현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소비자들의 반응을 살피는 것이다. 대략 2...
Read More

2021/04/03

2021/03/27

2021/03/20

2021/03/14

잘못된 북극성에 전략을 맞추지 마라

13:01 0
경영자들은 추상적인 비유를 통해 문제의 답을 찾는 경우가 있다. 유사한 사례를 살펴보고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인지적 오류와 편견에 빠지기 쉽다.  "이 길이 아닌가벼..." 천연가스와 전력 거래 사업을 성공...
Read More

2021/02/28

2021/02/11

CFO의 새로운 도전, Data Storyteller

15:39 0
CFO에게 기대되는 역할이 변화하고 있다.  기존의 회계 관리와 재무 계획, 위기 관리 업무 외에 데이터 분석과 사업모델 등 전략적인 영역으로 책임이 확장되고 있다. 통상 CEO 후보군으로 고려되기 때문이기도 하고, 기업 구조조정이나 M&A 같...
Read More

2021/02/06

2021/01/31

데이터 사이언스의 핵심 스킬? Data Storytelling

14:52 0
 수 많은 기업들이 데이터 분석가를 뽑는데 혈안이다.  그런데 분석 인력을 채용하면서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간과되는 분야가 있다. 바로 분석의 마지막 단계(last mile)이다. 경제학, 수학, 그리고 통계학 등에서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지닌 인력들조...
Read More

2021/01/09

2021/01/02

디자인 스프린트는 언제나 효과적일까?

11:56 0
구글벤처스에서 개발한 디자인 스프린트(Design Sprint)는 디자인 씽킹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이다. 단 5일만에 아이디어 스케치부터 프로토타입 테스트까지 신속하게 진행하며,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를 자극하고 새로운 개선 기회를 발...
Read More

2020/12/27

경영 현장에서 스토리(Story)가 지니는 부작용

15:39 0
스토리의 힘은 막강하다. 복잡한 상황도 쉽게 이해시키며,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고, 또 아이디어를 머릿 속에 각인 시키는 데도 힘을 발휘한다. 스토리텔링은 경영자와 리더의 중요한 역량으로 부각되곤 한다.  그런데 스토리는 동시에 많은 부작용을 유발시킬 ...
Read More

2020/12/20

크리에이티브의 비결, 패러독스(Paradox)

13:55 0
노벨상 수상자 22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사고의 비법을 조사한 연구가 있다. 이들은 각각 상충되는 복수의 아이디어들을 동시에 살펴보는 데 상당한 시간을 쏟아 부었다. 이른바 모순과 제약 상황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아이디어를 진일보 시켰다.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