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e한 리더가 조직문화를 유독(toxic)하게 만든다 Kangil Jang 20:18 0 지난해 전세계적으로 대량 퇴직(Great Resignation)이 발생했다. MIT 연구팀이 채용사이트에 등록된 100만 건이 넘는 퇴직자 리뷰를 통해 그 이유를 분석해봤다. 퇴직을 이끈 가장 큰 원인은 유독한 조직문화(toxic culture) 였... Read More
리더의 부정적인 피드백은 왜 효과가 없을까? Kangil Jang 23:21 0 과거는 지나갔다. 어떻게 하든 지나간 일을 되돌릴 수 없다. 이런 의미에서 이미 일어난 일에 대해 피드백을 주면, 기대만큼의 효과가 없다. "피드백(feed-back)과 피드포워드(feed-forward)" 이건 너가 잘했고, 이건 ... Read More
Apple이 채용때 무지한 지원자를 뽑는 이유 Kangil Jang 16:47 0 Apple은 진땀 빼는 채용 인터뷰로 악명이 높다. 해당 분야의 지식과 실전 경험뿐만 아니라, Apple이 바라는 이상적인 직원을 뽑기 위해 심혈을 기울인다. 잘 고안된 질문들로 인터뷰를 세심하게 진행하며, 때로는 예상치 못한 질문을 던지며 지원자를... Read More
간단함(brief)과 간결함(concise)의 차이 Kangil Jang 04:59 0 수없이 메일을 주고 받는 데도 업무가 지지부진하다. 최대한 공을 들여 짧은 이메일을 보낸다. 그러나 여러 관련 부서들과 커뮤니케이션하는 일은 번거롭고 더디기만 하다. "짧다고 간결한 건 아니다." 최대한 간단하게 메시지를 전달했는데 ... Read More
관리자(manager)와 리더(leader)의 한 끗 차이 Kangil Jang 19:55 0 관리자와 리더는 미묘하지만 차이가 있다. 그 조그만 차이가 조직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통제(control)와 주인의식(ownership)" 관리자와 리더의 가장 큰 차이는 직원들의 책임감을 어떻게 다루냐 에 달려 있다.... Read More
리더의 피드백이 직원들의 사기를 떨어뜨린다? Kangil Jang 23:15 0 직원과 미팅을 앞두고 있다. 리더는 이번 미팅을 통해, 직원의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코칭을 하고 싶다. 당신이라면 어떻게 하겠는가? 대부분의 관리자들은 직원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려 한다. 그리고 어떤 영역을 개선하면 더 좋은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Read More
고성과 팀을 원한다면, 85%만 요구하라 Kangil Jang 19:34 0 최대의 성과(maximum results)를 원한다면 최대의 노력(maximum effort)이 필요하다. 고통이 없이는 결실도 없다. 그러나 이는 고루한 사고방식에 불과하다. 과도한 노력은 성과로 이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탈진과 유독한 조직문화의 ... Read More
지속가능한 직장(workplace)이 갖춰야 할 4가지 Kangil Jang 21:33 0 최근 재택 및 원격 근무에 대한 니즈가 높다. 그런데 누구는 재택 근무를 반기지만, 또 어떤 이는 그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한다. 미국의 대학생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서베이에서, 74%가 사무실 근무를 그리워했다. 원격으로 근무하면서 직원간 상호작용과... Read More
Boss에게 부족한 가장 중요한 Skill Kangil Jang 20:57 0 관리자들이 흔히 맞닥뜨리는 문제는 하나로 요약될 수 있다. 이것이 부족하면 명확한 지시가 이루어질 수 없고, 구성원들의 이해와 기대치도 제각각이 된다. 자연히 구성원간 협력이 이루어지기 힘들고, 공감대에 기반한 동기 부여가 생길 수 없다. 조직의 생산... Read More
동일한 여건에서 생산성을 높이고 싶다면, Simplicity Kangil Jang 18:32 0 Google은 지속적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성장의 속도와 이익률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CEO인 Sundar Pichai는 생산성과 효율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전사 차원의 프로그램을 시도했다. 바로 Simplicity Sprint이다. 그는 구글의 생... Read More
당신은 오렌지 한 개라도 제대로 협상할 수 있을까? Kangil Jang 17:34 0 협상자들은 협상을 win-win 또는 win-lose 라고 표현한다. 그런데 이렇게 표현하는 순간, 협상에 임하는 시각이 협소해지고 새로운 가능성을 찾는 게 힘들어진다. win-lose라고 인식하는 순간, 협상은 엄정해지고 제로섬 게임으로 받아들여진다... Read More
프리젠터와 스토리텔러의 차이 Kangil Jang 18:26 0 Abraham Lincoln은 현대 기술의 수혜를 받지 못했다. TED 무대에 서지 못하고, 나무 그루터기에 올라야 했다. 파워포인트는 130여년 후에나 개발되었다. 그러나 그는 수많은 사람들이 먼 거리에서도 운집하게 만들었고, 연설하는 동안 자신의... Read More
탁월한 문제해결의 비결은 異見(dissent) 한 스푼 Kangil Jang 19:43 0 점점 복잡해지는 경영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선, 다양한 관점이 필요하고 이를 아우를 수 있는 협업이 중요하다. 그런데 많은 리더들이 자신은 이견(dissent)을 반긴다고 하지만, 실제 반론을 접하면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기 쉽다. 직원들이 완강히 반대 ... Read More
문제 해결(problem solving)의 시작은 스토리텔링으로 Kangil Jang 18:46 0 리더들이 의사결정에 실패하는 주요 이유 중에 하나는 문제(problem) 자체를 잘못 정의했기 때문이다. 예컨대, 한 회사가 인재를 채용하고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태스크 포스 팀은 더 매력적인 업무 공간을 만들어 직원간 격의 없는 협업을... Read More
탁월한 리더의 One-on-One 미팅 활용법 Kangil Jang 19:09 0 매일 업무로 분주하고 각종 마감시한에 치이는 매니저에게 One-on-One 미팅은 한낱 시간 낭비처럼 느껴진다. 한가한 관리자들이나 하는 소리 같고 직원들과 개별 미팅을 가지는 게 그지 어색하기만 하다. 한 리서치에 따르면, 4명 중에 1명은 직원들과... Read More
CEO가 직원들에게 심리적 안정감(psychological safety)을 주는 방법 Kangil Jang 03:05 0 CEO의 주요한 역할은 직원들에게서 유용한 아이디어를 끌어 내는 것이다. 그런데 CEO와 대면하는 것만으로도 이에 반하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CEO는 자산의 의지에 상관없이 주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직원들은 CEO에게 어떤 모습을 보여주냐에... Read More
일이 되게 하려면, 집중할 수 있게 하라. Kangil Jang 21:08 0 직원들은 근무 중에 수시로 주의가 흐트러진다. 기존 업무 뿐만 아니라 새로운 업무들이 끊임없이 밀려오고, 갖은 미팅과 메일로 흐름이 끊긴다. 한 조사에 따르면, 60.6%의 직원들이 흐트러짐 없이 업무에 집중하는 시간이 하루에 한 두 시간도 안된다고 ... Read More
매년 새롭게 전략을 짜는 데, 왜 맨날 똑같은 전략이 나올까? Kangil Jang 01:29 0 전략은 창의력과 신선한 영감이 필요하다.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경영 환경에 대응해야 하고 새로운 경쟁 우위를 개발하고 활용해야 한다. 그래서 말인데, 왜 따끈따끈 새로 뽑아낸 전략이 과거의 전략과 별반 다르지 않을까? 매년 기획팀과 전사 직원들이 그... Read More
열띤 논쟁에서 나와 상대방이 모두 이기는 법 Kangil Jang 19:00 0 상대와 열띤 논쟁이 전개된다. 상대의 주장은 잘못되었을 뿐만 아니라, 상대는 막무가내로 이를 우겨 대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물론, 상대도 나를 이렇게 여긴다. 논쟁의 특성상,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닌가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Yale대학교 인지... Read More
리더에게 커뮤니케이션 스킬은 악세사리가 아니다 Kangil Jang 21:54 0 탁월한 업적을 발휘하는 경영자들은 커뮤니케이션 스킬의 중요성을 형식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그리고 쓰기, 말하기, 프리젠테이션 등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키우기 위해 끊임없이 공을 들인다. Jeff Bezos는 쓰기 스킬을 중요시하는 것...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