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의 실행력은 최고경영자에게 달려 있는가? Kangil Jang 08:52 0 최고경영자에 집중된 권력은 단기간에 성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조직의 실행 역량은 장기간에 걸쳐 퇴화된다. 최고경영자의 빈번하고 직접적인 간섭은 중간관리자들의 문제 해결역량을 강화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갈등을 증폭 시킨다. 그들은 다른 부... Read More
경영자가 전략 실행(Execution)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3가지 Kangil Jang 23:30 0 첫째, 실행은 조직내 상하간 정렬(alignment)이 중하다. 경영자들이 전략 실행에 대해 전형적으로 생각하는 모습이 있다. 전략을 목표로 전환하고, 하위 목표들을 부서별로 배정한다. 그리고 각 진척 상황을 확인하고 달성 성과에 따라 보상을 한다... Read More
반대 의견을 제시해야 할 의무 (Obligation to Dissent) Kangil Jang 19:43 0 남들과 다른 생각이나 반대 의견을 지니고 있다면 과감히 앞에 나서서 목소리를 내야 한다. 이것은 선택 사항이 아니라 의무이다. 조직의 모든 구성원은, 설령 그가 경험과 연륜이 부족하더라도, 충분한 지적 역량과 통찰력을 지닌 것으로 여겨진다. 인... Read More
구글이 스마트한 인재들만 모았다고 팀이 성공하는 건 아니다 Kangil Jang 15:05 0 팀의 성과를 미리 가늠할 수 있는 요소가 있을까? 엔지니어와 비엔지니어의 비율, 시니어와 주니어의 비율 등등... 구글은 팀의 실적을 예견할 수 있는 그 어떤 변수도 찾지 못했다. 구글은 전세계 180개 팀을 데이터 기반으로 심층 분석했다. 어떤 ... Read More
페이스북, 핀터레스트에서 배우는 스타트업 리더의 스토리텔링 Kangil Jang 12:35 0 스타트업 기업가는 구성원들에게 어떤 이야기를 귀가 따갑게 들려주어야 할까? 1. 실패 이야기 (Failure) 취약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리더가 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행위이다. 리더의 진심을 전달하기 때문이다. 진실함은 신뢰를 쌓게 만들며... Read More
탁월한 조직 문화에 대한 아이디어 Kangil Jang 22:04 0 Tell me, and I forget. Teach me, and I remember. Involve me, and I learn. (Benjamin Franklin) Culture eats strategy for breakfast. (P... Read More
조직문화 적합성(culture fit)에서 떨어지셨습니다 Kangil Jang 21:50 0 채용 면접때 가장 흔한 질문 중에 하나는 조직문화에 관한 것이다. 면접관들은 업무역량 이외에 후보자가 다른 조직원들과 잘 융합될 수 있는지 살펴보려 한다. 그런데 문화 적합성은 의도치 않은 부작용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는 면접관이 호감을 느끼는 ... Read More
AI 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구성원들의 역량 Kangil Jang 21:07 0 이 시대에 리더는 어떤 구성원들을 원할까? 어떤 조직적 역량이 회사를 끊임없이 성장시킬 수 있을까? 2012년에 IBM은 1,700여명의 CEO를 대상으로 글로벌 서베이를 실시했다. 이 결과에 따르면 CEO가 구성원들에게 기대하는 Top 4 역량은... Read More
회사가 존재하는 이유 Kangil Jang 00:33 0 다시 말해 우리는 왜 여기 있는가? 흔히들 이윤 창출이라고 답한다. 물론 이윤(money)은 회사가 존재함으로서 발생하는 가장 중요한 결과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회사의 존재 이유를 찾기 위해서는 좀 더 깊이 들어가야 한다. 그러면 목적(purpo... Read More
성공한 리더가 되고 싶다면 진실한 사람들을 포용하라 Kangil Jang 21:56 0 성공을 거두려면 무엇보다 진실한 조직(authentic organization)을 구현해야 한다. 진실한 조직이란 개개 구성원들이 각자의 진정한 가치를 인정받고 자아를 최적으로 실현하는 조직이다. 이를 위해선 다양한 사람들로 조직이 채워져야 한다.... Read More
가장 빨리 사라질 기업 Kangil Jang 20:52 0 가장 빨리 멸종할 동물은? 바로 북극곰과 사자, 호랑이 같은 동물들이다. 이 동물들은 가장 상위의 포식자로 감히 대적할 적수가 없다. 연약한 토끼처럼 신경을 곤두세우며 주위에 세심하게 신경 쓸 필요가 없다. 자연히 몸집은 비대해지고 움직임은 둔해진... Read More
이력서로 사람을 판단하는 건 한 마디로 젠장(Suck)이다. Kangil Jang 22:51 0 이력서는 "무엇(what)"과 "어디에서(where)"를 보여준다. 지원자가 과거에 무엇을 했으며, 어디에서 그 일을 했는지 알 수 있다. 그러나 정작 중요한 것은 "왜(why)"와 "어... Read More
본원적 경쟁력의 원천은 사람, 그리고 그들의 몰입 Kangil Jang 21:23 0 피터 드러커는 경영에 관한 만족할만한 정의는 단 한가지 밖에 없다고 단언한다. "경영은 인적 자원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다." 경쟁력의 원천은 과거에 Product에 있었다. 이후에는 Process, 그리고 최근에는 People... Read More
조직의 민첩성(Agility). 홀라크라시(Holacracy)를 제대로 바라보는 관점 Kangil Jang 23:11 0 최근 Holacracy라는 대안 조직이 부상하고 있다. Holacracy는 수직적인 계층 구조를 탈피하고 수평적인 써클(circle) 형태로 조직을 구성한다. 그런데, Holacracy에 대한 장밋빛 기대 속에 왜 이러한 조직 구조가 효과를 발휘... Read More
두려움(fear)이 혁신에 미치는 영향 Kangil Jang 11:22 0 1. 경쟁에 대한 두려움은 시선을 흐리게 만든다. 경쟁에 대한 압박감은 모든 시선이 경쟁사를 향하게 만든다. 경쟁사의 일거수일투족에 신경을 쓰다보면 창의성이 마르게 되고 신제품 개발도 경쟁사의 논리에 빠져들게 된다. 결국은 혁신이 아닌 가격 경쟁... Read More
Team의 성공비결에 대한 8가지 오해 Kangil Jang 22:56 0 1. 팀은 클수록 생산적이다? 멤버를 많이 투입할수록 과제를 더욱 손쉽게 해결할거라 생각한다. 그러나, 팀 인원은 5~9명이 최적이다. 팀원이 일정 수 이상으로 늘어나게 되면 멤버간 커뮤니케이션의 비효율성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자연히 의사결... Read More
이기는 것은 습관이다 Kangil Jang 11:02 0 "이겨 본 자만이 이긴다. 성공과 승리의 경험은 무엇보다 값진 자산이다. 패배감에 물든 군대, 이기는 싸움을 해보지 않은 군대는 절대 승리할 수 없다." (충무공 이순신) 기업도 마찬가지이다. 이겨본 기업만이 이길 수 있다.... Read More
경영 패러다임의 변화: 차가운 경영에서 따뜻한 경영으로 Kangil Jang 11:02 0 최근 경영의 주된 관심은 사람이다. 사람을 배제하고 효율과 생산성을 중시하는 차가운 경영에서, 구성원 개개인의 동기와 역량을 강화하는 따뜻한 경영으로 이동하고 있다. 어떻게 구성원들의 동경과 열망을 자극할 수 있을까? 첫째, 가슴 벅찬 비... Read More
나보다 똑똑한 우리, 집단지성 Kangil Jang 10:54 0 모든 이들의 로망은 무엇일까? 아마도 일하지 않고도 먹고 즐기며 사는 것일 게다. 누구나 한 번쯤은 퇴근길에 로또 판매대가 도드라지게 느껴지기도 하고, 그럴싸한 빌딩을 지나칠 때면 임대업자가 되는 백일몽에 살짝 젖어보기도 한다. 그러다 이내 ... Read More
고객을 향한 따로 또 같이 Kangil Jang 10:47 0 1992년 실적 악화로 파산 위기에 처했던 IBM은 전사적인 목표와 개별 사업부 목표가 상이해 여러 부작용을 겪었다. 동일 고객에게 IBM의 각기 다른 사업부가 경쟁적으로 입찰을 시도 하거나 심지어 고객 앞에서 타 사업부의 제품을 비방하는 사례가 ... Read More